원가관리회계 기초
01. 원가의 구성
구분 | 구성 | 개념 |
직접원가(기본원가) | 직접재료비 + 직접노무비 | 제품별 원가추적 가능 |
가공원가(전환원가) | 제조간접비 + 직접노무비 | 직접재료비를 제외한 원가 |
제조간접비 | 간접재료비 + 간접노무비 + 간접경비 | 직접원가를 제외한 원가 |
총제조원가 | 직접재료비 + 직접노무비 + 제조간접비 | 원가의 합계 |
판매원가 | 제조원가 + 판매비와관리비 | 판매관리비가 포함됨 |
판매가격 | 판매원가 + 이익 |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 |
02. 원가의 분류
분류기준 | 구분 | 내용 | |
원가행태 | 변동원가 | 조업도가 변동하면 총원가가 비례적으로 변동 | |
고정원가 | 조업도의 변동과 무관하게 총원가가 일정 | ||
추적가능성 | 직접원가 | 특정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 ex) 직접재료, 직접노무 |
|
간접원가 | 특정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 불가 ex) 제조간접 |
||
제조활동 연관성 | 제조원가 | 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 ex) 직접재료, 직접노무 |
|
비제조원가 | 제품 제조 이외 과정에서 발생 ex) 판관비 |
||
수익과의 대응관계(방법) | 제품원가 | 제조원가 중 자산화하여 판매시점까지 비용발생을 이연시킴 | |
기간원가 |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 | ||
의사결정과의 관련성 | 의사결정에 영향 | 관련원가 | 의사결정 대안 간 차이 (영향 O) |
매몰원가 |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이미 발생 (영향 X) | ||
회피가능성 | 회피가능원가 | 특정대안을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절약되는 원가 (의사결정에 따라 변동) | |
회피불능원가 | 특정대안을 선택하지 않아도 계속 발생하는 원가 | ||
실제 현금지출여부 | 기회원가 | 포기한 대안 중 최선의 대안으로부터 달성가능했던 최대이익(또는 최소비용) - 장부상 계상 X | |
현금지출원가 | 실제 현금지출을 수반 | ||
자산과의 관련성 | 미소멸원가 | 제조원가 중 자산화하여 판매시점에 비용으로 인식 (미래 경제적 효익 제공) | |
소멸원가 |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 (미래 경제적 효익 X) | ||
통제가능성 | 통제가능원가 | 경영자가 발생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가 | |
통제불능원가 | 경영자가 발생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원가 | ||
시점 별 | 역사적 원가 | 의사결정 이전 시점에 이미 발생한 원가 | |
예정(미래)원가 | 의사결정 이후 시점에 발생할 원가 |
※의사결정 시 고려여부
매몰원가 | 관련원가 | 기회원가 | 회피가능원가 |
X | O | O | O |
03. 제조원가의 흐름
매입 --> | 직접재료원가 | 재공품 | 제품 | |||
기초재고 | 당기사용분 | 기초재공품 | 당기제품 제조원가 |
기초제품 | 매출원가 | |
직접재료원가 | ||||||
당기매입분 | 기말재고 | 직접노무원가 | 기말재공품 | 당기제품 제조원가 |
기말제품 | |
제조간접원가 |
04. 원가의 계산
구분 | 계산 |
재료원가 | 기초재료재고액 + 당기재료매입액 - 기말재료재고액 |
당기총제조원가 | 직접재료원가 + 직접노무원가 + 제조간접원가 = 재료원가 + 노무원가 + 기타제조원가 |
당기제품제조원가 | 기초재공품재고액 + 당기총제조원가 - 기말재공품재고액 |
매출원가 | 기초제품재고액 + 당기제품제조원가 - 기말제품재고액 |
05. 합리적 원가배분기준
배분기준 | 내용 |
인과관계 | - 원가배분대상에 제공된 서비스나 활동량에 비례하여 공통원가를 배분 - 가장 이상적인 배분기준 ex) 작업준비원가의 작업준비횟수 비례배분 |
수혜 | - 원가대상이 공통원가로부터 제공받은 경제적 효익의 정도에 따라 배분 - 수익자부담원칙에 충실한 배분기준 - 물량기준법에 의한 결합원가의 배분 |
부담능력 | - 원가대상의 원가부담능력에 비례하여 공통원가를 배분 - 상대적 판매가치법에 의한 결합원가의 배분 |
공정성과 공평성 | - 공정성과 공평성에 의해 공통원가를 원가대상에 배분 - 정부와의 계약에서 주로 사용 |
06. 보조부문의 원가배분
구분 | 배분법 | 정의 |
용역수수에 의한 배분 | 직접배분법 | - 보조부문상호 간의 용역수수관계를 완전히 무시하는 방법 - 보조부문은 제조부문만을 위해 용역을 제공함을 가정 |
단계배분법 | 정해진 배분순서에 따라 보조부문원가를 후순위의 보조부문과 제조부문에 배분하는 방법 | |
상호배분법 | - 보조부문상호 간의 관련성을 모두 고려해서 보조부문원가를 배분하는 방법 - 배분 할 총원가 = 자기부문의 발생원가 + 다른 부문으로부터 배분된 원가 |
|
원가행태에 의한 배분 | 단일배분율법 | - 보조부문원가를 하나의 기준에 따라 배분하는 방법 - 원가의 행태를 고려하지 않음 - 원가배분의 합리성이 떨어짐 - 모든 원가를 실제(예정) 용역사용량을 기준으로 배분 |
이중배분율법 | - 보조부문원가를 고정원가와 변동원가로 구분하여 별도기준에 의해 보조부문원가를 배분하는 방법 - 고정원가 : 최대용역사용가능량 기준 - 변동원가 : 실제(예정)용역사용량 기준 |
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
01. 개별원가계산 vs 종합원가계산
구분 | 개별원가계산 | 종합원가계산 |
생산형태 | 주문생산(다품종 소량생산) | 공정별 생산(소품종 대량생산) |
업종 | 조선, 건설업 등 | 식품, 제분, 정유업 등 |
원가집계 | 제품별 제조지시서 | 기간단위 생산량 |
원가구분 | 직접비와 간접비 | 재료비와 가공비 |
배부방식 | 제조간접비 배부 원가계산표 작성 |
완성품환산량 단위원가에 의해 배부 |
장점 | 정확한 원가계산 효율적인 통제 |
단순함 공정별 책임중심점 명확 |
단점 | 복잡, 고비용 | 개별제품의 원가집계 어려움 |
02. 개별원가계산의 과정
1단계. 원가대상이 되는 개별 작업파악 |
2단계. 직접원가를 파악하여 작업별 추적 |
3단계. 제조간접원가 파악 |
4단계.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 설정 |
5단계. 간접원가 배부율 계산 및 작업별 배부 |
03. 종합원가계산의 절차
단계 | 내용 |
1단계. 물량흐름의 파악 | - 물량 : 최종산출물 기준의 수량 - 공정의 완성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음 - 물량 파악 방법 : 기초재공품수량 + 당기투입량 = 당기완성품수량 + 기말재공품수량 |
2단계. 완성품환산량의 계산 | - 완성품환산량 : 일정기간 동안 투입된 재료와 가공의 노력을 제품생산에 투입했더라면 생산가능했던 수량 - 완성품환산량의 계산 : 물량 * 완성도 |
3단계. 배분대상원가 요약 | 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라 배분대상원가를 요약 |
4단계. 단가의 계산 | 완성품환산량단위당원가 = 요약된 배분대상원가 / 완성품환산량 |
5단계. 원가의 계산 | 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라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를 계산 |
04.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비교
구분 | 평균법 | 선입선출법 |
1단계 | 완성품물량을 구분하지 않음 | 완성품물량을 구분 |
2단계 | 전기부터의 총작업량 반영 | 당기 중의 작업량만 반영 |
3단계 |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투입원가가 원가의 배분 대상 | 당기투입원가만 원가의 배분대상 |
4단계 | 전기단가와 당기투입원가를 가중평균 | 당기투입원가 만으로 단가산정 |
5단계 | 기초재공품원가는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에 배분 | 기초재공품원가는 완성품에만 가산 |
표준원가
01. 실제원가계산 vs 표준원가계산
구분 | 실제원가계산 | 표준원가계산 |
목적 | 결산 및 재고평가 | 관리적 목적 |
원가생성시점 | 실적 발생 후 (사후원가계산) | 실적 발생 전 (사전원가계산) |
금액평가시점 | 실제원가 마감 시 가능 | 실시간 평가가능 |
관리노력 | 적음 | 많음 |
02. 표준원가계산의 목적(장점)
구분 | 내용 |
원가관리와 통제 | - 표준원가와 실제원가 간의 차이분석을 통해 원가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 - 예외에 의한 관리가 가능* *예외에 의한 관리 : 용인할 수 있는 예외의 범위를 설정한 후 범위를 넘어서는 중요한 차이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기법 |
예산편성 | 사전에 설정한 표준원가가 예산 설정에 이용 |
재무제표 작성 | 재무제표상의 재고자산과 매출원가를 산정하는 원가정보로 이용 |
원가보고의 신속성 | - 적시성 있는 원가정보가 제공 - 원가흐름의 가정이 불필요 |
제품단위당 원가의 일정함 | 기준조업도에 의해 제품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가 산정되므로 생산량에 따라 제품단위당 원가가 변동하지 않아 분석에 혼란을 초래하지 않음 |
03. 원가요소별 차이분석 (왼쪽이 크면 불리, 오른쪽이 크면 유리)
원가요소 | 차이분석 | ||||
[AQ * AP] | [AQ * SP] | [SQ * SP] | |||
직접재료원가 | 실제구입원가 | 실제투입량 * 표준가격 |
표준투입량 * 표준가격 |
||
(가격차이) | (능률차이) | ||||
직접노무원가 | 실제발생액 | 실제시간 * 표준임률 |
표준시간 * 표준임률 |
||
(가격차이) | (능률차이) | ||||
변동제조간접원가 | 실제발생액 | 실제조업도 * 표준배부율 |
표준조업도 * 표준배부율 |
||
(소비차이) | (능률차이) | ||||
고정제조간접원가 | 실제발생액 | 고정제조간접원가예산 |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 | ||
(예산차이) | (조업도차이) |
04. 원가차이배분방법
비배분법 | 매출원가조정법 | - 모든 원가차이를 매출원가에서 조정 - 매출원가의 비중이 기말재고자산의 비중보다 월등히 높은 경우 사용 |
영업외손익법 | 모든 원가차이를 영업외손익에서 조정하는 방법 | |
비례배분법 | 총원가비례배분법 | 매출원가와 기말재공품, 기말제품의 총원가 비율대로 원가차이를 배분 |
원가요소별비례배분법 | - 요소별 원가차이를 매출원가, 기말제품, 기말재공품 금액 중 해당 원가요소의 금액 비율대로 배분 - 가장 실제원가계산의 근사치로 조정 |
원가계산의 범위
01. 전부원가계산 vs 변동원가계산 vs 초변동원가계산
구분 | 전부원가계산 | 변동원가계산 (직접원가계산) |
초변동원가계산 (재료처리량 원가계산) |
|
특징 | -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원가로 보는 원가계산방법 (고정제조간접원가도 포함) - 원가부착개념 근거 - 전통적 손익계산서 방식 |
- 변동제조원가만 제품원가에 포함시키고 고정원가는 기간원가(비용)로 처리하는 원가계산방법 - 원가회피개념 근거 - 공헌이익, 변동원가 계산 |
- 직접재료원가 등 제품단위수준 변동원가만 제품원가에 포함시키는 원가계산 - 가공원가는 기간비용(원가) 처리 |
|
손익계산서 | 매출액 (-) 매출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 매출총이익 (-) 판매비 및 관리비 -------------------------- 영업이익 |
매출액 (-) (변동) 매출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 제조공헌이익 (-) 변동판매비 및 관리비 -------------------------- 공헌이익 (-) 고정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 영업이익 |
매출액 (-) (제품단위수준) 변동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 현금창출공헌이익 (-) 운영비용 -------------------------- 영업이익 |
|
원가시스템 | 직접재료원가 | 제품원가 | 제품원가 | 제품원가 |
직접노무원가 | 기간원가 | |||
변동제조간접원가 | ||||
고정제조간접원가 | 기간원가 |
02. 각 원가계산 별 재고자산의 변화에 따른 영업이익
재고자산의 변화 | 영업이익 크기의 비교 |
기초재고량 = 기말재고량 (생산량 = 판매량) | 전부원가계산 = 변동원가계산 = 초변동원가계산 |
기초재고량 < 기말재고량 (생산량 > 판매량) | 전부원가계산 > 변동원가계산 > 초변동원가계산 |
기초재고량 > 기말재고량 (생산량 < 판매량) | 전부원가계산 < 변동원가계산 < 초변동원가계산 |
03. 원가계산방법 간 영업이익의 전환
변동원가계산 --> 전부원가계산 | <차이 원인 : 고정제조간접원가>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이익 (+)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(-) 기초재고자산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이익 |
초변동원가계산 --> 변동원가계산 | <차이 원인 : 변동가공원가> 초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이익 (+)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 변동가공원가 (-) 기초재고자산에 포함된 변동가공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이익 |
초변동원가계산 --> 전부원가계산 | <차이 원인 : 가공원가> 초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이익 (+)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 가공원가 (-) 기초재고자산에 포함된 가공원가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이익 |
계획과 통제
01. 원가 조업도 이익분석
구분 | 내용 | |||
공헌이익 | 공헌이익 = 매출액 - 총변동원가 = 단위당 공헌이익 * 수량 *단위당 공헌이익 = 단위당 판매가격 - 단위당 변동원가 |
|||
공헌이익률 | 공헌이익률 = 공헌이익 / 매출액 = 단위당 공헌이익 / 단위당 판매가격 | |||
손익분기점 분석 | - 이익을 0으로 만드는 매출액 - 손익분기점 < 수익 : 이익 - 손익분기점 > 수익 : 손실 - 손익분기점 판매량 = 고정원가 / 단위당 공헌이익 - 손익분기점 매출액 = 고정원가 / 공헌이익률 |
|||
목표이익 | - 특정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필요 매출액 계산 - 목표 판매량 = (고정원가 + 목표이익) / 단위당 공헌이익 - 목표 매출액 = (고정원가 + 목표이익) / 공헌이익률 |
|||
안전한계 | -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초과하는 금액 -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포기할 수 있는 최대 매출액 - 안전한계 = 매출액 - 손익분기점 매출액 - 안전한계율 = (매출액 - 손익분기점 매출액) / 매출액 |
|||
영업레버리지 | - 기업의 영업비 중 고정비가 차지하는 정도 - 영업레버리지가 클수록 매출액의 변화에 따라 이익의 변화가 커짐 - 영업레버리지도 = 영업이익변화율 / 매출액변화율 = 공헌이익 / 영업이익 |
02. 활동기준원가계산방법
1단계 : 활동분석 | - 기업의 기능을 활동별로 분석 - 기업의 기능 : 단위수준, 배치수준, 제품수준, 설비수준으로 구분 가능 |
2단계 : 원가의 집계 | 각 활동별로 소비되는 원가를 집계 |
3단계 : 활동별 원가동인의 결정 | 활동별 배부기준 결정 |
4단계 : 활동별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결정 | 집계한 활동별 제조간접원가 / 활동별 배부기준 |
5단계 : 활동별 제조간접원가 계산 | 소비된 활동 수 * 활동별 배부율 |
03. 활동기준경영관리의 실행
- 전략분석 : 수익성 높은 활동을 분석
- 가치분석 : 공정개선과 원가절감을 통해 비부가가치활동을 제거
- 원가분석 : 원가절감기회 식별 및 성과개선을 위한 노력
- 활동기준예산 : 활동기준으로 예산수립절차를 수행
04. 수명주기원가계산의 유용성
- 수명주기의 단계별로 수익성에 대한 집계가 가능하여 프로젝트 전체의 이해 향상
- 제조 이전단계에서 대부분의 제품원가가 결정되는데 설계단계에서 원가절감이 가능
- 원가발생의 상호관계 파악 가능
- 단계별로 원가의 발생 정도를 파악 가능
05. 품질원가의 종류
통제원가 | 예방원가 | 불량품 생산 예방 목적 ex) 품질교육, 공정엔지니어링, 공급업체 평가 등 |
평가원가 | 불량품 적발 목적 ex) 원재료나 제품의 검사, 검사설비 유지, 현장 및 라인 검사 등 |
|
실패원가 | 내부실패원가 | 불량품이 고객에게 인도되기 전에 발견되면서 발생하는 원가 ex) 공손품, 작업폐물, 재작업, 재검사, 작업중단 등 |
외부실패원가 | 불량품이 고객에게 인도된 후 발견되면서 발생하는 원가 ex) 고객지원, 보증수리, 교환, 반품, 판매기회 상실 등 |
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
01. 단기의사결정의 유형
구분 | 경우 | |
특별주문의 수락 또는 거부 | 특별주문을 수락하는 경우 - 유휴설비 보유 : 특별주문가 > 증분수익 - 증분원가 - 유휴설비 없음 : 특별주문가 > 증분원가 + 추가설비원가 + 기존판매 감소 공헌이익 |
|
제품라인의 유지 또는 폐지 | 제품라인을 유지하는 경우 - 증분 공헌이익 - 회피가능고정원가 + 기회원가 > 0 |
|
부품의 자가제조 또는 외부구입 | 외부구입하는 경우 - 기존설비대체가능 : 외부구입원가 < 변동원가 + 회피가능고정원가 + 기회원가 - 기존설비대체불가능 : 외부구입원가 < 변동원가 + 회피가능고정원가 |
|
결함제품의 즉시판매 또는 추가제공 | 1) 즉시판매하는 경우 - (추가가공 후 판매가격 - 추가가공원가) < 분리점에서의 판매가격 2) 추가가공하는 경우 - (추가가공 후 판매가격 - 추가가공원가) > 분리점에서의 판매가격 |
02. 대체가격의 의미와 사업부의 입장
- 대체가격 : 사업부나 기업 내부에서 서로 주고받는 재화나 용역의 이전거래에서 재화나 용역에 부여되는 가격
공급사업부 | 구매사업부 |
- 대체가격을 최소한 관련 원가 이상 인식해야 함 - 최소대체가격 = 단위당 증분지출원가 + 단위당 기회원가 |
- 대체가격이 시장에서 대체할 수 있는 외부구입 원가보다는 작아야 함 - 최대대체가격 = Min(단위당 지출가능원가, 단위당 외부구입원가) *단위당 지출가능원가 = 최종완제품의 판매가격 - 완제품 단위당 추가가공원가 |
03. 대체가격의 가격결정방법
기준 | 내용 |
시장가격기준 | - 재화나 용역의 시장가격을 대체가격으로 결정 - 객관적이므로 공정함 |
원가기준 | - 제품원가를 대체가격으로 결정 - 이해하기 쉽고 간편 - 준최적화발생 (사업부와 전체기업 목표의 불일치) - 공급사업부의 원가통제에 대한 동기가 없음 - 원가통제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해 표준원가를 기초로 대체가격을 설정 |
협상가격기준 | - 공급사업부와 수요사업부가 협의를 통해 결정 - 최적의 의사결정이 가능하며 갈등 완화 - 협상에 많은 시간이 소요 - 협상결과에 따라 성과가 좌우되어 성과평가가 왜곡될 수 있음 |
04. 대체가격이 기업 전체의 이익에 미치는 효과
구매사업부의 최대대체가격 >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| 구매사업부의 최대대체가격 <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|
- 두 사업부 모두 허용가능한 범위 - 기업 전체 증분이익 = 최대대체가격 - 최소대체가격 |
- 두 사업부 중 적어도 한쪽은 손실 - 기업 전체 증분손실 = 최소대체가격 - 최대대체가격 |
05. 현금흐름추정의 기본원칙
- 증분기준 : 관련수익과 관련원가만 고려
- 감가상각비 : 감가상각비는 비현금유출이므로 고려하지 않음 (절세효과만 고려)
- 세후기준 : 관련 세금을 차감
- 이자비용 : 자금조달 관련 금융비용의 이자비용은 고려하지 않음
- 인플레이션 : 명목현금흐름(명목할인율로 할인), 실질현금흐름(실질할인율로 할인)
06. 예산자본모형
순현재가치법(NPV) | 내부수익률법(IRR) |
- 투자안의 순현재가치를 이용하여 투자안의 채택 여부 결정 - 순현재가치 = (현재가치고려) 현금유입 - (현재가치고려) 현금유출 - 투자안의 채택 -> 독립적 투자안 : 순현재가치 > 0 -> 상호 배타적 투자안 : 순현재가치가 가장 큰 투자안 채택 - 장점 -> 화폐의 시간가치 고려 -> 가치가산의 원칙이 성립 -> 자의적 판단이 개입되지 않음 -> 기업가치 극대화에 부합 - 단점 -> 정확한 투자안의 자본비용 측정이 어려움 |
- 투자안의 내부수익률(순현재가치가 0이 되도록하는 수익률)을 요구수익률과 비교 - 투자안의 채택 -> 독립적 투자안 : 내부수익률 > 자본비용 -> 상호 배타적 투자안 :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이 가장 큰 투자안 채택 - 장점 -> 화폐의 시간가치 고려 -> 자의적 판단이 개입되지 않음 - 단점 -> 내부수익률의 계산이 복잡 -> 특수한 경우 내부수익률이 복수로 존재 -> 투자규모를 고려하지 않음 |
성과평가
01. 책임중심점의 종류
종류 | 내용 |
원가중심점 | - 통제가능한 원가에 대해서만 책임 - 주로 제조부문이 대상 |
수익중심점 | - 매출액에 대해서만 책임 - 주로 영업 및 판매 부문이 대상 |
이익중심점 | - 원가와 수익 모두에 대해서 책임 - 주로 조직 전체나 각 부서가 그 대상 |
투자중심점 | - 원가, 수익 및 투자의사결정에 대해서 책임 - 주로 기업의 제품이나 사업부가 그 대상 |
02. 책임회계제도의 장점
- 관리자의 신속한 의사결정 및 대응이 가능
- 책임중심점에 권한과 책임이 위임됨에 따라 책임중심점의 동기부여 가능
- 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성과평가가 가능해짐
- 책임의 소재가 명확해지므로 관리자가 원가와 수익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
- 성과차이분석을 통해 예외에 의한 관리가 가능
03.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
구분 | 투자수익률 | 잔여이익 | 균형성과표 |
계산방식(관점) | 영업이익 / 투자중심점의 영업자산 = (영업이익/매출액) / (매출액/투자중심점의 영업자산) = 매출액이익률 * 자산회전율 |
투자중심점의 영업이익 - 투자중심점의 영업자산에 대한 부가이자 = 투자중심점의 영업이익 - (투자중심점의 영업자산 * 최저필수수익률) |
1) 재무적관점 - 더 높은 이익률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 목표 - 모든 지표들은 궁극적으로 재무 성과의 향상과 연계되어야 함 - 주주가치극대화와 직결 - ROA, EPS 등 2) 고객관점 - 기업들은 고객 가치 극대화의 관점에서 고객 척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 - 시장점유율, 고객유지율, 고객만족도 등 3) 내부프로세스관점 -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프로세스의 경쟁우위확보를 위해 노력 - 불량률, 반품률, 납기준수율 등 4) 학습과 성장관점 -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직원과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- 이직률, 직원만족도, 인당 교육시간 등 |
장점 | - 이익뿐만 아니라 투자액도 고려하여 성과평가 - 동일산업 내 다른 기업과 성과평가 비교 가능 |
- 기업 전체의 목표와 책임중심점의 목표가 일치 (투자중심점과 회사전체의 잔여이익이 동시에 극대화, 준최적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) - 잔여이익 극대화를 위한 동기부여가 강조됨 |
- 재무적/비재무적 요소를 동시에 성과평가 가능 - 장기/단기적 성과를 동시에 고려 - 기업의 내부와 외부 측정지표간의 균형 가능 - 과거거래에 대한 지표와 미래의 성과동인 간의 균형이 가능 |
단점 | - 준최적화 현상 발생가능 - 회계이익을 기준으로 평가하므로 회계끼준 적용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-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함 - 단기적 성과만 강조 |
투자규모가 다른 사업부의 성과를 서로 비교하면 성과가 왜곡 | - 비재무적 측정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려움 - 정형화된 측정 수단을 제공하지 못함 |
04. 경제적부가가치(EVA) 분석
의의 | - 사업부 수익성과 부채상환능력을 고려하여 가치창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종합 지표 - 투하자본에서 부채의 금웅비용뿐만 아니라 자기자본의 자기자본비용을 동시에 고려 - 당기순이익이 아닌 기업 본연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영업이익 사용 - 주주가치 극대화라는 기업 전체의 목표와 일치 |
계산 | 경제적부가가치 = 세후영업이익 - 자본비용 = 세후영업이익 - 투하자본 * 가중평균자본비용 |
투하자본의 계산 | - 투하자본 = 순운전자본1) + 순고정자산2) 1) 순운전자본 = 유동자산 - 비영업 관련 유동자산 - 영업 관련 유동부채(단기차입금 등) 2) 순고정자산 = 영업관련 투자자산 + 영업관련 유형자산 + 영업관련 무형자산 |
가중평균자본비용 | 타인자본비용 * (타인자본/총자본) + 자기자본비용 * (자기자본/총자본) |
'자격증 > 재경관리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격증] 재경관리사 기출문제 오답노트 - 3 (0) | 2022.12.12 |
---|---|
[자격증] 재경관리사 기출문제 오답노트 - 2 (3) | 2022.12.11 |
[자격증] 재경관리사 기출문제 오답노트 - 1 (0) | 2022.12.08 |
[자격증] 재경관리사 핵심이론 요약정리(2) - 세무회계 (3) | 2022.11.23 |
[자격증] 재경관리사 핵심이론 요약정리(1) - 재무회계 (7) | 2022.11.03 |
댓글